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사람 몰리는 곳엔 어김없이 등장하는 게, 바로 팝업 스토어입니다. <br> <br>잠깐 생겼다가 사라지지만 소비자 각인 효과는 확실하다고 합니다. <br><br>대체 어떤 매력이 있는건지 경제카메라, 김승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곳은 서울 성수동입니다. <br> <br>인터넷 팝업창처럼 잠깐 열렸다 없어지는 팝업 스토어가 요즘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곳입니다. <br><br>성수동 최대 번화가인 카페거리 근방 200m 안에만 총 열두 곳에 달하는데요. <br><br>다양한 현장으로 직접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커다란 약과 모양의 간판, 얼핏 보면 디저트 가게처럼 보이지만 제품 색깔을 약과에 비유한 화장품 팝업 스토어입니다. <br> <br>방문객들은 룰렛 돌리기를 해 굿즈를 선물 받습니다.<br><br>[박서윤 / 서울 서초구] <br>"키링 주는 이벤트가 있는데 거기에 당첨돼서 너무 행복하고요. 부스마다 참여할 수 있는 게 있어서 좋았어요." <br> <br>또 다른 곳에선 세제 색깔을 표현한 형형색색의 공잡기 놀이가 한창입니다.<br><br>제품 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라벤더밭 포토존도 인기입니다. <br><br>[김예서 / 경기 화성시] <br>"(제품을)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향기가 있는 줄 몰랐거든요. 그걸 알게 됐어요." <br> <br>팝업 스토어는 평균 일주일 정도 문을 여는데 수억 원의 운영비가 들어갑니다. <br><br>짧은 영상 광고보다 소비자에게 각인 효과가 커 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하는 겁니다.<br><br>[최의리 / 식품그룹 브랜드전략부문장] <br>"일방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조금 더 비용이 들더라도 실제 거리로 나와서, 브랜드의 일부가 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는 게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다." <br> <br>게임 속 장소가 현실로 옮겨온 온라인 게임 팝업 스토어는 사전예약이 5분 만에 마감됐고, 캐릭터가 그려진 열쇠고리와 인형 등을 100만 원 넘게 사가는 손님도 여럿입니다.<br><br>전통 식품인 김치 팝업까지 처음 등장했을 정도입니다. <br><br>온라인 패션 플랫폼의 팝업스토어에서는 특정 브랜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배가량 올랐습니다.<br> <br>2025년 전망되는 전 세계 팝업스토어 시장 규모는 127조 원. <br><br>국내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며 서울 성수동을 비롯해 서울 압구정과 코엑스, 홍대 등으로 반경을 넓혀가고 있습니다.<br> <br>최근에는 카페 등을 대관해 팝업을 여는 경우도 많아 지역 건물주들도 반깁니다. <br> <br>장기 임대보다 수익률이 높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정종민 / 팝업 스토어 대행사 대표] <br>"(장기 임대보다) 수익이 더 빨리 창출될 수도 있고.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그 공간이 노출되기 때문에 건물에 대한 홍보도 되고…" <br> <br>다만 전문가들은 거리 상권 전체를 봤을 때 일반 매장과의 균형도 맞춰야 한다고 경고합니다. <br> <br>[최원석 / 팝업 스토어 대행사 대표] <br>"겨울 시즌이나 팝업이 제대로 흥행하기 어려운 시즌에는 거리가 다 비는 수가 있어요."<br><br>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수만큼 부작용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입니다.<br><br>경제카메라 김승희입니다. <br> <br>연출: 박희웅 김태희 <br>구성: 강전호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